Overview
HOW
WE MANAGE
CJ제일제당은 제품 생산 활동으로 주변 환경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전담 조직을 중심으로 환경경영
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효율 개선과 온실가스 감축 그리고 폐기물 저감 등 환경 리스크 전반을 관리합니다. 특히, 제품 포
장재 저감을 위한 친환경 패키징과 친환경 발효 공법을 이용한 BIO 제품 생산 등 단순 감축 활동을 넘어 자연에서 소비자 식탁으
로, 이를 다시 자연으로 되돌리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19 KEY
FACTS &
FIGURES

환경경영 활동 강화
지속가능한 환경을 고려한 책임있는 생산
환경경영활동 추진 전략
CJ제일제당은 ‘글로벌 수준의 녹색경영 기업’ 이라
는 비전 아래 지속가능한 환경경영 체계를 구축하
였습니다. 환경 리스크에 대한 인식부터 개선, 예방,
대응 및 진단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환경안전 전략을
수립하여 화학물질 누출, 악취 배출 등 환경 관련 핵심
리스크를 사전에 발견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폐기물 자원 순환 활동
모든 기업 경영활동에서 폐기물은 필연적으로 발생
합니다. CJ제일제당은 폐기물을 단순히 저감하기보
다는 또 다른 자원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만들
고 있습니다. 2019년에는 진천공장의 두부 생산 공
정 부산폐기물인 콩비지를 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관리 개선을 추진하여 정부로부터 순환자원으로 인
정받았습니다.

환경경영 조직 체계
제품 및 서비스 제공에 따른 환경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본사 및 국내외 사업장을 아우르는 환경경영 조
직을 구성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탄소성적표지 인증 제품 확대
제품생산 전 과정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를
위해 일부 제품을 대상으로 탄소성적표지 인증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019년에는 햇반, 콩기름, 하얀
설탕 및 갈색설탕 9개 제품이 인증을 받았습니다.

지속가능성 고려한 기술 및 제품 개발
친환경 패키징 활동 추진
포장재로 인한 폐기물 저감과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해 ‘지속가능한 패키징 3R 정책’을 수립하고, 재활용 불가능한 포장재 사용 억제 및 포장재를 최소로
사용할 수 있는 패키징 구조, 소재 개발을 통해 지속 가능한 순환경제 (Circular Economy)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주요 제품의 기술 개발로 2019년에 약 551톤의 플라스틱 원료를 감축하였습니다. 이는 자동차를 약 3,673대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플라스틱 양입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소재(CJ BIO PHA*) 개발
CJ제일제당이 보유한 BIO 기술력을 바탕으로 친환경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CJ제일제당이 개발한 플라스틱 신소재(CJ BIO PHA)는 비닐 봉투, 음식
포장재, 종이 코팅 등에 활용되는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100% 바이오유래 원료를 사용하였으며, 해양에서도 생분해가 가능합니다.
![PHA 생분해 사이클 [생분해 : 물,이산화탄소 > 바이오 유리 원료 (옥수수,사탕수수 등) > PHA(생분해성 플라스틱) > 최종제품 > 물, 이산화탄소] , 해양생분해 120일 후 90% 분해](/resources/img/about/sustainability/envi-07.png)
CASE
제품 패키징
개선 사례
당사 주요 제품인 선물세트의 경우 트레이에 재활용 소재를 40% 포함하고 있으며, 공간비율을 19% 축소하여 2019년
플라스틱 사용량을 80톤 감축하였습니다. 햇반용기도 감량화를 통해 연간 344톤의 플라스틱 사용량을 감축하였습니다.
친환경 바이오 발효 및 정제 기술
CJ제일제당이 보유한 친환경 발효 및 정제 기술을 바탕으로 자연에서 얻어 자연으로 돌려주는 ‘지속가능한 바이오 사이클’을 구현하였습니다. 자연에서 얻은
원료로 제품을 생산하고, 제품을 소비하고 폐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영향을 저감하여 지속가능한 환경에 기여합니다.
![CH제일 제당 지속가능한 바이오 사이크 [Start > 곡물산업 바이오메스 '1. 광합성을 통한 선순환, 2. 지속가능한 자원으로 활용'] > CJ제일제당 바이오 플랜트 (발효공법) > 사료용 아미노산 (지속가능한 제품) > 축산업 '1. 가축 단백질 효율 증가, 2. 질소 배설물 감소(9~9%)' > 환경 '1. 대기 방출 암모니아 감소 , 2. 천연 비료화' > 반복](/resources/img/about/sustainability/envi-09.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