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의 지향점
CJ제일제당은 경영 전반의 ‘건강과 안전’, ‘지속가능한 환경’의 핵심공유가치 창출을 표방함으로써 ‘Nature to Nature’ 선순환 실현을 목표합니다.

추진 조직
지속가능경영의 체계적인 추진을 위해 각 영역별 협력부서와 이를 통합하는 전담부서, 이슈 별 정책 제안 및 공동논의를 위한 위원회를 구축하였습니다.
![CEO - 사회공헌위원회 , 전사 위기대응 운영 위원회, 경영지원 총괄, CBP추진담당 - 1. 지속가능경영 전담 : CSV경영팀 ,2. E(환경) [환경안전담당, 패키징담당, 구매담당], S(사회) [구매담당, 인사담당], G(경제/거버넌스) [재무담당, R&D, 구매담당, 법무담당]](/resources/img/about/sustainability/strategy-02.png)
사회적 기여에
대한 공동논의
CJ제일제당은 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사안별 전사적 공동논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8년에 ‘사회공헌위원회’를 설치
하여 기부금 사용의 목적과 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해당위원회는 대표이사 CFO(경영지원총괄, 재경실장), 준법지원인 및
CSR 담당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전사 위기대응운영 위원회’를 통해 중대 리스크 발생시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는 전사적 리스크
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장대응팀, 대외대응팀, 대내운영지원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
CJ제일제당은 경영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재무 및 비재무적 리스크를 파악할 뿐만 아니라 미래의 사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잠재리스크를 정의하여 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 조직구성 등 면밀한 분석 및 대응하고 있습니다.
주요 리스크의 정의 및 관리
리스크 | 정의 및 영향 | 관리 조직 | 관리 형태 |
---|---|---|---|
경영 전반 | 환경, 산업안전, 품질, 공정 등 경영 전반에서 발생하는 리스크는 기업 신뢰, 손익에 영향 미칠 수 있음. 이에 따라 중대 리스크 발생 시 전사 위기대응 본부 운영하고 있음 |
· 식품생산본부 · 사업관리 |
· 전사 위기대응 본부 |
정보보안 | 사이버 보안 위협 등 정보보안 리스크 발생 시 소비자 신뢰 저감, 손익에의 영향을 미침. 이에 따라 소비자의 개인정보 및 기업 내부 정보보호를 위한 내부 체계 조직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음 |
· 융합보안팀 |
· 전사 위기대응 본부 · 정보보호 전담조직 구성 · 조직 별 보안담당자 지정 |
조세 | 당사는 전 세계 각지에서 사업이 운영되며 해당 조세 법규, 제도 미준수 등 리스크 발생 시 손익과 직결됨. 이에 따라 세무 정책 및 규정 기반 ‘CJ제일제당 조세정책’을 수립하고 관리하고 있음 |
· 재무운영실 |
· 전사 위기대응 본부 · 조세정책 · 조세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
잠재 리스크의 정의 및 관리
잠재 리스크 | 정의 및 영향 | 관리 조직 | 관리 형태 |
---|---|---|---|
원재료 가격 급변 리스크 |
주요 원재료 가격 급변에 따라 공급 및 원가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수익성 확보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 Global구매전략실 · 식품구매담당 |
· 원재료 가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정량적 시황지표 모니터링 · 정성적 뉴스 모니터링 |
환율 리스크 관리 | 환율 변동으로 인하여 불확실성 증가와 더불어 손익에 변동이 발생할 수 있음 |
· 재무전략실 |
· 매칭을 통한 환노출 축소를 우선 실행하여 외환 위험을 축소 · 잔여 노출은 내부 외환관리 규정에 따라 선물환 등 파생상품을 통해 헷지 · 투기 목적 외환관리 엄격히 금함 |
환경안전 법규, 정책 변경 리스크 |
사업장에 적용되는 환경안전 법규, 정책 변경시 사전 대응하지 않을 경우, 법규 미준수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사업장 가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 안전경영팀 · 식품생산본부 · BIO엔지니어링담당 |
· 전사 법규 모니터링 체계 구축 - 입법예고 단계부터 당사 적용사항/변경점 확인 및 사전 적용 검토 및 대응 |
사업장 안전 리스크 | 제조 사업장에서 발생가능한 5대 리스크를(환경,화재, 산업(중대)재해, 건강장애, 전기요인) 정의하고 있으며, 해당 리스크로 인한 사회와 임직원의 기업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 안전경영팀 · 식품생산본부 · BIO엔지니어링담당 |
· 대형사고 중심 사업장별 Risk Top 관리체계 구축 · SDR(Safety Design Review) 강화 운영 · 안전행동원칙 설정 '노 스탑? 노 터치!’ · 전염병 예방관리 단계별 수행 |
인구구조의 변화 | 1인 가구 및 여성 근로자 증가 등의 인구구조 변화는 전반적인 식품사업에 영향을 끼치며, 변화되는 트렌드를 바탕으로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제품 출시가 필요함 |
· 식품브랜드 마케팅담당 |
· 건강과 편의 추구가 반영된 HMR 신제품 개발 · HMR 제품 프리미엄화 전략 추진 · Trend 예측 기반 Next HMR 진화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