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소비자들이 보다 이국적인 맛에 눈길을 돌리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이미 대중화된 Italian, Mexican, Japanese 음식 외에, 더욱 이국적이고 새로운 맛으로 한식이 떠오르고 있다.
한식의 글로벌 성장 가능성을 3가지로 짚어봤다.
매운맛에 대한 선호가 한식으로 이어져
최근,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에서도 매운맛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특히, 한식 메뉴 중에서 매운맛으로 고추장이 주목 받고 있다.

Google 검색량 추이 그래프
- 검색키워드
- Spicy food
- 검색량 추이
- 2009년 4월 1일 : 약 25만건
- 2012년 3월 1일 : 약 40만건
- 2015년 2월 1일 : 약 55만건
- 2018년 1월 1일 : 약 78만건
- 검색키워드
- Gochujang
- 검색량 추이
- 2009년 4월 1일 : 약 3만건
- 2012년 3월 1일 : 약 20만건
- 2015년 2월 1일 : 약 35만건
- 2018년 1월 1일 : 약 100만건
출처: Google Trend, [검색 조건]지역: 미국, 기간: 09년~19년, 모든 카테고리 웹 검색 기준
새로운 맛에 대한 수용도가 높은 “Food adventurous” 성향의 소비자들이 있다. 이들은 이국적 메뉴를 통해 새로운 맛을 경험하고자 하거나, 이국적 메뉴를 시도해보는 것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데, 특히 매운맛에 대한 선호도가 매우 높다.
이 소비자들의 성향으로 비추어 보았을 때, 매운맛이 새로운 메뉴를 시도하게끔 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국적 메뉴에 대한 소비자 태도
- 설문: 이국적요리를 통해 새로운 맛을 경험하다
- 전체 소비자 답변 : 76퍼센트 동의
- Food adventurous 성향의 소비자 답변 : 88퍼센트 동의
- 설문: 나는 이국적 메뉴에 대해 알게되는 것을 즐긴다
- 전체 소비자 답변 : 67퍼센트 동의
- Food adventurous 성향의 소비자 답변 : 88퍼센트 동의
Q: How much do you agree or disagree with the following statement?(Top2, %, Surveyed in Jul, 2018)
* 출처: Flavor innonvation on the menu_US Otc.2018, Mintel
매운맛에 대한 태도
- 설문: 나는 매운맛을 매우 선호/매울수록 더 좋다
- Food adventurous 성향의 소비자 답변 : 41퍼센트 동의
- 새로운 요리 가끔 시도 성향의 소비자 답변 : 19퍼센트 동의
- 새로운 요리 비선호 성향의 소비자 답변 : 13퍼센트 동의
- 설문: 나는 매운맛을 좋아하는 편이다
- Food adventurous 성향의 소비자 답변 : 45퍼센트 동의
- 새로운 요리 가끔 시도 성향의 소비자 답변 : 51퍼센트 동의
- 새로운 요리 비선호 성향의 소비자 답변 : 38퍼센트 동의
- 설문: 나는 매운맛을 좋아하지 않는다
- Food adventurous 성향의 소비자 답변 : 14퍼센트 동의
- 새로운 요리 가끔 시도 성향의 소비자 답변 : 30퍼센트 동의
- 새로운 요리 비선호 성향의 소비자 답변 : 49퍼센트 동의
Q: Which best describes you attitudes toward spicy food?(SA, %, Surveyed in Jul, 2018)
* 출처: Flavor innonvation on the menu_US Otc.2018, Mintel
확장성이 높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한식
한식 메뉴가 글로벌에서 더욱 사랑 받는 가능성으로 언급되는 것은 한식 메뉴들의 다양한 확장 가능성 때문이다.
예를 들어, 김치의 경우 김치 자체만으로 섭취하기도 하고, 찌개나 볶음밥에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는 것처럼, 글로벌에서도 김치 자체를 섭취하는 것뿐만 아니라, 버거, 면 요리, 타코 등에 재료나 토핑으로 활용된다. 이는 김치뿐만 아니라, Korean BBQ 갈비나 불고기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활용도가 높이 평가된다.

커스터마이징으로 신선한 재미와 다양한 소비자 공략
원하는 재료로 만드는 Bowl 컨셉 메뉴에 대한 트렌드에 힘입어 비빔밥이 한식 Bowl 로 인식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비빔밥은 우선 다양한 토핑을 골라 직접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즐거움을 준다.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데, 야채 토핑만 올려 채식 혹은 다이어트를 원하는 소비자, 불고기 등 고기 기반의 토핑으로 든든한 한 끼를 원하는 소비자 등, 다양한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글로벌 시장 내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한식은 매운맛, 확장성, 커스터마이징과 같은 특성을 기반으로 글로벌 소비자들에게 색다른 모습으로 다가가고 있다.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한식이 또 어떤 방식으로 변신을 거듭할지, 그 방향성과 잠재력이 기대된다.
